정책서민금융 상품을 이용했다면 '전세 특례보증' 최대 8천만원 지원 조건 및 신청 방법

정책서민금융 이용자분들을 위한 특별한 기회, '전세 특례보증'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이 상품은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성실히 상환해온 분들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전세 특례보증의 지원 대상, 지원 내용, 그리고 취급처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전세 특례보증은 신청일 현재 연소득 4,500만원 이하자로서, 근로자햇살론, 햇살론유스, 햇살론뱅크, 미소금융, 안전망대출1/2, 햇살론15/17, 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등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연체 없이 6회 이상 상환했거나 상환 완료한 지 4년 이내인 분들을 지원합니다. 연소득 1,500만원 초과자는 최대 8천만원, 연소득 1,500만원 이하자는 최대 6천만원까지 지원됩니다. 경남, 기업, 국민, 농협, 부산, 신한, 우리, 하나, 대구, 제주은행 등 총 10곳의 협약 은행에서 취급하며, 한국주택금융공사 웹사이트에서 대상자 여부를 미리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민, 대구, 제주은행의 경우 성실상환 증명서류를 발급받아 지참해야 합니다.

 

전세 특례보증


한국주택금융공사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전세 특례보증 대상자 조회하기

바로 가기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전세 특례보증,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 요건

  • 신청일 현재 연소득 4,500만원 이하자
  •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연체 없이 6회 이상 상환했거나 상환 완료한 지 4년 이내인 자

* 정책서민금융상품 종류: 근로자햇살론, 햇살론유스, 햇살론뱅크, 미소금융, 안전망대출1/2, 햇살론15/17, 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 한국주택금융공사 웹사이트의 '대상자 조회하기' 링크를 통해 대상자 여부를 미리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단, 최종 보증 가능 여부는 협약 은행의 여신 심사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출 한도는 어떻게 되나요?

지원 내용 (대출 한도)

  • 연소득 1,500만원 초과자: 최대 8천만원
  • 연소득 1,500만원 이하자: 최대 6천만원

어디서 신청할 수 있나요?

취급처 (협약 은행)

  • 총 10곳: 경남, 기업, 국민, 농협, 부산, 신한, 우리, 하나, 대구, 제주은행

신청 절차

  1. 경남, 기업, 국민, 농협, 부산, 신한, 우리, 하나은행:
    하단 '대상자 조회하기' 절차를 진행하시고 해당 은행의 지점에서 상품 신청이 가능합니다.
  2. 국민, 대구, 제주은행:
    하단 '대상자 조회하기' 절차를 진행하시고, 성실 상환 증명 서류를 발급, 지참하신 후 해당 은행의 지점에서 상품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상자 조회하기 >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전세 특례보증은 성실한 정책서민금융 이용자분들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고, 더 나은 금융 생활을 지원하는 중요한 상품입니다. 해당 조건을 충족하신다면 한국주택금융공사 웹사이트를 통해 대상 여부를 확인하시고 가까운 협약 은행에서 상담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POST ADS 2